
한국시사경제 문화팀 | 부산시는 27일 오후 2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2025 부산주거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부산주거포럼'은 부산의 주거정책 발전과 전문가 협력을 위한 플랫폼으로 지난 5월 출범했으며, 6월 24일 첫 창립총회를 열었다. 이번 토론회(포럼)는 창립 이후 처음으로 정례화해 개최하는 공식 행사다.
이번 토론회(포럼)에는 포럼 회원, 주택·도시·건축 전문가, 공무원,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세대공존 고령친화 부산의 주거정책 : 비전과 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를 한다.
▲한영숙 ㈜싸이트플래닝 대표의 ‘리빙케어 도시로의 전환: 공공임대 시니어주택의 가능성’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한국주거학회 윤영호 주거연구원장이 ‘국내 세대공존형 주거단지의 태생과 향후 전망’ ▲싱가포르-이티에이치 센터(SEC, Singapore-ETH Centre) 이지혜 연구원이 ‘행복 주거도시를 향하여 – 싱가포르의 통합 도시·주거전략’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서 종합토론에서는 ▲신병윤 동의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고 ▲부산대학교 권현주 교수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 정소이 연구위원, 그리고 앞선 세 명의 발표자가 함께 ‘국내외 사례를 기반으로 한 세대공존형 고령친화 주거단지의 실현 가능성과 부산 적용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부산주거포럼'은 주거·건축·도시계획·복지·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율적으로 참여한 전문가 100여 명으로 구성되며, '2032 부산 주거종합계획'과 '행복주거 5대 중점과제' 등 시의 핵심 주거정책과 연계해 연차별 주요 의제를 선정·논의한다.
공동대표(시-부산건축가회), 운영위원회, 사무국, 회원으로 구성된다.
시는 이번 첫 토론회(포럼)를 계기로, 향후 정기 토론회(포럼)를 본격적으로 확대 운영하고, 내년(2026년)부터는 수시 토론회(포럼) 및 워크숍 등으로 논의 구조를 다각화해 나갈 방침이다.
성희엽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세대공존형 주거전략은 초고령사회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도시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전략적 과제”라며, “창립 이후 처음으로 정례적으로 개최되는 이번 토론회(포럼)가 부산의 주거미래를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시민이 체감하는 주거혁신의 원년을 여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