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시사경제 사회팀 | 충북도는 지난 10월 23일 ‘2025년 가을철 산불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고, 산불예방 추진상황을 점검하며 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했다.
회의에는 문석구 환경산림국장을 비롯해 도, 산림환경연구소, 11개 시·군 산림부서장이 참석한 가운데, 가을철 산불방지 종합대책 공유와 단계별 대응체계 정비, 현장 실행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 따르면 올해 10월 현재 도내 산불은 20건(피해면적 51.76ha)으로, 전년 대비 건수는 2배, 피해면적은 20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불법소각이 전체의 35%를 차지해 여전히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주민의 부주의로 인한 인재(人災)가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는 “고령층·농업인 대상 대면 홍보 강화, 불법소각 무관용 원칙 철저 적용”을 재차 강조하고, 현장 중심의 예방활동을 강화하도록 시·군에 당부했다.
현재 충북도는 10월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를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13개 기관(도·시군·연구소) 합동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 중이다. 산불상황관제시스템 및 CCTV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입산통제구역 19만2천ha 지정·등산로 656km 폐쇄·헬기 4대 상시 대기 등 입체적 대응체계를 총력으로 가동하고 있다.
또한, 영농부산물 파쇄 863ha 추진, GPS 기반 신고체계 구축, 드론 감시 확대를 통해 산불 발생 및 확산을 사전에 차단할 방침이다.
문석구 충북도 환경산림국장은 “소각산불 예방은 현장에서 시작해 현장에서 끝난다”는 원칙을 강조하며, “모든 시·군이 불법소각 단속과 대면 홍보를 병행하고, 산불 발생 시 신속·정확 보고 체계를 철저히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마을이장·부녀회 등 지역공동체와 협력하는 도민참여형 예방 문화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야간 산불 대응태세를 강화하고, 주민대피훈련을 정례화해 피해를 최소화하라”고 주문했다.
도는 이번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불법소각 근절 홍보 강화 ▲야간 산불 대응력 강화 ▲주민대피계획 점검 ▲도민참여형 예방공동체 운영 등 실질적인 후속 조치를 적극행정으로 신속히 이행해 산불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