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사경제 김숙영 기자 | ‘2025 세계유산축전-고창고인돌, 갯벌’의 일환으로 고창군이 고창군 세계유산보존협의회,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와 함께 16일 오전 고창웰파크호텔에서 ‘세계유산 고창 고인돌의 현재와 미래-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다.
학술대회는 세계유산인 고창 고인돌 유적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국외 거석기념물의 최신 연구성과와 보존관리 사례를 함께 비교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영문 소장(동북아지석묘연구소)은 ‘고창 고인돌 유적의 세계사적 의의와 가치’의 기조강연에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선사시대 유적은 그리 많지 않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고인돌 유적은 희귀성, 역사성 그리고 특수성 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등재 의미를 가진다”며 “유적지 관리와 함께 전시공간과 체험공간 조성을 통한 지적 욕구를 제공하고, 각종 편의시설을 조성하여 편안함과 친밀감이 있는 유적지로 가꾸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선 ▲ ‘세계유산 고창 고인돌 유적의 조사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정다운·박인영,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 ▲ ‘세계유산 고창 고인돌 유적의 보존관리 현황과 향후 활용방안(장충희, 전북연구원 전북학연구센터)’, ▲ ‘영국 스톤헨지의 최신 조사연구 성과 및 보존관리 현황(헤더 스비어, 잉글리쉬 헤리티지)’, ▲ ‘인도 우산돌의 최신 조사연구 성과 및 보존관리 현황(아룬 말릭, 인도 문화부 고고학연구소)’, ▲ ‘인도네시아 사부섬 고인돌의 최신 조사연구 성과 및 보존관리 현황(랑가 아딧탸 다츨란,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 ‘일본 오유환상열석 거석기념물의 최신 조사연구 성과 및 보존관리 현황(사이먼 케이너, 영국 세인즈버리 일본문화예술연구소)’ 등의 연구성과가 발표됐다.
이후에는 이영문 소장을 좌장으로, 조진선(전남대학교), 김규정(전북문화유산연구원), 고일홍(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윤호필(상주박물관), 윤덕향(前 전북대학교), 최완규(원광대학교) 등 거석기념물 전문가들과 발표자들의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이번 국제학술대회가 고창 고인돌의 세계사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고창이 세계유산 도시로서 지속 발전하는 데 큰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현규 고창군 세계유산보존협의회 위원장은 “‘2025 세계유산축전-고창 고인돌, 갯벌’ 가치 확산 프로그램으로 준비한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세계유산 고창 고인돌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확산하고 세계적인 거석기념물 유적로서의 위상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됐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고창 고인돌 유적지에는 수백 기 이상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탁자식, 기반식, 개석식 등 형식의 다양성과 밀집도 면에서도 세계적으로도 압도적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과 함께 200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등재 이후에도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가 진행됐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유적의 보존관리가 이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