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6년간 28만 건, 서울시민 17만 2천명에게 긴급돌봄 서비스 지원

서울시 ‘돌봄SOS서비스’ ’19년 시범사업 시작, 현재 426개 전 동주민센터에서 운영 중

 

한국시사경제 문화팀 | 서울시복지재단은 6년간(2019.7.~2025.8.) 총 28만 5,651건, 17만 2,507명의 시민들에게 ‘돌봄SOS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돌봄SOS’는 2019년 7월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현재 426개 전 동주민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서울시 대표 돌봄 정책으로 시민의 긴급한 돌봄 욕구 해소를 위해 10대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는 서울시가 서비스 이용료 전액 지원하고, 그 외 시민은 전액 본인이 부담한다.

 

서비스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이용자에게 도시락을 배달해주는 ‘식사배달서비스’ 이용률이 42.1%로 가장 높았으며, 돌봄대상자 가정을 방문해 수발 등을 지원하는 ‘일시재가서비스’(23.1%), 안전손잡이 설치, 형광등 교체 등 가정 내 불편사항을 간단히 수리·보수하는 ‘주거편의서비스’(18.7%)가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78.2%가 65세 이상 어르신이었으며, 중장년 이하(64세 이하)도 21.8%로 나타나 연령 제한으로 인해 기존 돌봄제도를 이용할 수 없었던 돌봄 사각지대에도 돌봄SOS서비스를 통해 지원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누적 이용자(172,507명)의 대부분은(97.5%)은 수급자·차상위계층을 비롯해 중위소득 100% 이하의 저소득층이지만, 이용자의 2.5%는 일반가구로 소득수준 관계없이 돌봄의 필요도를 고려하여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원수를 살펴보면 77%가 1인가구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해 가족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1인가구의 돌봄 수요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서비스 누적 이용액은 8월말 현재 총 902억 4,622만 원으로 이용자 1인당 연간 평균 52만 원 수준으로 서비스를 이용했다.

 

돌봄SOS서비스를 통한 긴급돌봄 이후에도 5대 중장기 돌봄제도(안부확인, 건강지원, 돌봄제도, 사례관리, 긴급지원)를 연결(총 23만 8,363건)하여 지속적인 돌봄이 제공될 수 있도록 했다.

 

서비스 만족도는 5년 연속 93점 이상의 종합만족도를 유지하고 있다(’21년(93.57점)→’22년(93.50점)→’23년(93.98점)→’24년(94.18점)→’25년(94.34점)).

 

돌봄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시민은 거주지 동주민센터에 전화 또는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관련 문의는 돌봄전문콜센터 안심돌봄120 또는 다산콜센터로 하면 된다.

 

서울시는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확대하여 신규 돌봄 수요 발굴 등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유연희 사회서비스지원센터장은 “앞으로도 서울시민 누구나 긴급한 돌봄이 필요할 때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서울형 돌봄 안전망을 촘촘히 이어가겠다”며, “특히 1인가구·고령층 증가에 대응해 더 세밀한 돌봄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