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사경제 김숙영 기자 | 김제시가 생활인구 50만 시대를 향한 본격적인 실행체계 점검에 나섰다.
부서 간 협력과 공동 추진을 통해 생활인구 확대 전략을 한 단계 더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2일 오후 2시경 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김희옥 부시장 주재로 “생활인구 증대방안 추진상황 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37개 부서장이 참석했으며, 그간 추진해 온 성과와 문제점을 공유하고 향후 계획을 구체화했다.
보고회에서는 지난 3월 수립된 생활인구 확대 전략과 과제를 바탕으로, 각 부서별 이행 실적을 종합 점검했다. 단순히 성과를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애로사항과 개선점을 도출하여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한 점이 특징이다. 또한 관광·문화·전통시장·정주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계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하고, 부서 간 공동 추진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행정안전부는 지방소멸 대응을 위해 생활인구를 교부세 산정에 포함하도록 제도를 개선했으며, 2026년 교부세 산정분부터 실질 적용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생활인구가 많은 지자체일수록 교부세 확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게 된다.
김제시는 현재 생활인구가 약 33만 명으로, 정주인구 대비 4배에 달한다. 시는 이를 기반으로 50만 명 생활인구 달성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 지역 축제 및 문화행사 활성화 ▲ 특산물·전통시장 연계 관광상품 개발 ▲ 관광객 유입 확대 ▲ 외국인 및 귀농·귀촌 인구 유입 인구 ▲ 체류형 정주공간 확충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김희옥 부시장은 “생활인구 확대가 현실화 되면 지방재정 확충은 물론, 지역 상권과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활인구 확대는 단순한 인구 통계상의 수치가 아니라 김제시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과제”라며 “부서간 긴밀한 협력과 실행력을 바탕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