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시사경제 권충현 기자 |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재단의 역할로 피해자에게 배상할 수 있다’는 내용을 정관에 추가하고, 포스코에 강제징용 피해자를 돕자며 40억 원의 기금을 요청했다고 한다.
일본 강제동원에 우리 기업의 책임이 있습니까? 공기업은 정부의 요구가 부당해도 수용해야 하는 하부기관입니까?
일본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일본 전범기업이 아닌 우리 기업의 기부로 보상하겠다고 밝힌 윤석열 정부의 황당무계한 발상을 그대로 밀어붙이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제대로 된 사과를 받기는커녕 보상주체를 우리기업으로 바꾼 엉터리 배상은 강제동원 피해자를 우롱하는 2차 가해다.
윤석열 정부는 억울하게 강제징용 피해를 입은 분들의 ‘진심 어린 사과와 상응하는 책임을 지게 하고 싶다’는 요구가 과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왜 정부가 나서서 일본의 책임을 지우고 그 보상을 우리기업에 전가하려는 것입니까? 윤석열 정부는 더 이상 비굴한 외교로 국민의 아픔을 헤집지 말기 바란다.
만주당은 "정부가 살피고 눈치 봐야 할 것은 일본 정부가 아니라 우리나라 국민이다."며 "국민의 아픔과 호소에 귀 닫고 듣지 않는 정부는 존재이유가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