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시사경제 윤경수 기자 | 한국기자협회 윤리강령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한 ‘공정보도’를 핵심 가치로 두고 있다.
그러나 MBC는 윤석열 대통령의 뉴욕 발언에 사실 확인을 하지 않는 등 ‘공정보도’를 포기했다.
반드시 MBC는 어떤 의도로 ‘바이든’으로 자의적으로 해석한 자막을 제작해 보도했는지 답을 해야 한다.
MBC는 영상을 접한 다른 언론과 국민들로 하여금,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이 자막과 함께 ‘바이든’으로 들리도록 ‘바베큐효과’를 의도했다.
또한 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MBC 보도 30분 전 공식 회의 석상에서 보도 내용을 예언하듯 발언해, MBC 보도의 ‘후광효과’가 되어주었다.
공당 원내대표의 발언 근거가 온라인을 떠도는 확인되지 않은 영상이라는 주장을 믿을 국민들은 아무도 없다.
MBC는 왜곡 보도 이후 백악관에 메일까지 보내 한미관계를 이간질했다. MBC가 훼손한 건 분명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격이다.
여당은 "MBC가 제2의 광우병 사태를 획책한 것이 아니라면, 공영방송이라는 이름을 걸고 지금 바로 진실을 말해야 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