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시사경제 윤광희 기자 | 오늘 한 언론에서 윤석열 대통령 사저에는 전용 헬기가 이착륙 할 수 없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 보도를 인용하여 민주당에서는 “대통령의 헬기 이동을 고려했다가 이웃에게 불편을 줄까 봐 이동하지 않았다”던 대통령실의 해명이 거짓말로 드러났다는 논평을 냈다.
‘재해’를 ‘정쟁’으로 이어가려는 의도가 명확해 보인다.
대통령실은 지난 8일 윤석열 대통령이 사저에서 국무총리와 행안부장관 등으로부터 실시간 보고를 받으며 피해 상황을 대처하였다고 설명했다.
당시에 사저 인근에는 지하벙커 수준의 시스템을 갖춘 국가지도통신차량이 대기하고 있었고, 사저에도 유사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이동이 필요할 경우에 대비하여 전용헬기 운영도 검토했으나, 기상조건 및 주민불편 등을 고려했을 때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물론 사저 건물의 이착륙 환경도 검토했다. 그렇기에 차량도 인근에 배치된 상태였다.
대통령실은 재해 등 위급하고 중차대한 상황에 대비하여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한치도 소홀함이 없도록 하고 있다.
지난 집중 호우는 115년 만에 수도권에 내린 가장 큰 비였고, 많은 분들이 사망하시거나 실종되는 등 인명피해 컸으며 서민들의 재산 피해가 심각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8일 이후 수해 현장을 돌아보고, 회의를 주재하는 등 재발 방지 대책을 위해 최선을 다해 일했다.
대심도 빗물터널 건설과 반지하 주거 대책 등 앞으로 있을 폭우에 대한 현안 정책 과제가 산적하다.
여당은 주당은이 "더 이상 정쟁을 멈추고, 대책 마련을 위한 협치에 나서주길 촉구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