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시사경제 윤경수 기자 | 지난 8일부터 이어진 기록적인 집중호우는 수도권을 포함한 중부지방을 다시금 집어삼켰다. 서울의 일일 강수량은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래 115년 만에 최고치로 방재 한계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보인다.
2011년 7월에도 이틀 동안 폭우가 서울을 강타했고, 우면산 산사태 등 강남구와 서초구, 양천구 등에서 큰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은 긴급수방대책을 발표하며 10년간 5조 원을 투입해 상습 침수 지역 7곳에 ‘대심도 빗물 터널’을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후임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2013년 7곳의 터널을 1곳으로 축소하는 등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됐다.
또한 지난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시의회에 제출한 4,450억 원의 수방 예산도 248억 원이 추가 삭감된 채 통과되었다.
그 결과가 폭우에 잠긴 오늘의 강남구와 서초구를 보여주었고, 피해는 오롯이 서울 시민에게 돌아갔다.
오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발표에 따르면 사망자 9명, 실종자 7명, 부상자 17명으로 집계됐다.
반지하 주택에 들이친 폭우로 운명하신 일가족 참변 소식을 접한 국민께서는 모두 참담함을 금할 수 없었다. 이번 폭우로 목숨을 잃으신 분들의 명복을 빌고 실종되신 분들이 무사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수색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100년만의 폭우로 누군가는 가족을 잃었고 또 누군가는 생계의 터전을 잃었다. 재난 상황에 정쟁과 정치공세는 결단코 있을 수 없다.
국민안전에 대해서는 국가는 무한 책임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밤새 계속된 집중호우를 주시하며 실시간으로 상황을 보고 받고, 신속하고 구체적인 지시를 하며 면밀히 챙겼다. 긴급대책회의 주재는 물론 침수 피해 현장을 찾아 현장을 직접 살폈고, 오늘도 집중호우 대처상황점검회의를 주재했다.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오늘 오후 ‘수해대책점검 긴급 당정 협의회’를 개최하고 책임 여당으로서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한 수해 복구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
여당은 "민생경제 위기 속에 폭우가 휩쓸고 간 도심의 모습에 서민들의 시름과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며 "지금은 여야가 ‘정쟁’이 아니라 함께 힘을 모아 국가적 재난을 극복할 국회 차원의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할 때다"고 했다.